가족이나 회사를 통해 나도 모르게 실비보험에 중복으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습니다. ‘보험은 많을수록 좋은 것 아닌가?’라고 생각하며 든든하게 여기셨을 수도 있습니다. 하지만 실비보험의 경우, 이야기가 조금 다릅니다. 중복으로 가입된 실비보험, 과연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좋을까요? 아니면 하나는 정리하는 것이 현명할까요?

실비보험 중복 가입 왜 손해일까?
실비보험 중복 가입은 보험료만 이중으로 납부하고 보장은 그만큼 받지 못하는 손해가 될 수 있습니다. 그 이유는 실비보험의 핵심적인 보상 방식인 ‘비례보상’ 원칙 때문입니다.
비례보상이란, 보험 가입자가 실제로 부담한 의료비 내에서 여러 보험사가 보험금을 나누어 지급하는 방식입니다. 예를 들어, 병원비가 100만 원이 나왔고 A와 B, 두 개의 실비보험에 가입되어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. 이 경우 A와 B에서 각각 100만 원씩, 총 200만 원을 받는 것이 아닙니다. 두 보험사가 각각 50만 원씩 나누어 총 100만 원의 보험금을 지급합니다. 결국, 보험료는 두 배로 내면서 실제 받는 혜택은 하나만 가입했을 때와 같은 셈입니다.
혹시 장점은 없을까?
물론, 중복 가입의 장점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닙니다. 각 보험의 보장 한도가 합산되어 더 큰 금액의 의료비가 발생했을 때 유리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각각 통원 치료비 보장 한도가 30만 원인 두 개의 실비보험에 가입했다면, MRI 촬영비로 50만 원이 나왔을 때 전액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이런 경우는 흔치 않으며, 이를 위해 매달 이중으로 보험료를 납부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.
내 보험 중복 가입 여부 확인 방법
‘나도 혹시?’라는 생각이 드신다면, 먼저 본인의 보험 가입 내역을 확인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. 손쉽게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내보험다보여: 한국신용정보원에서 운영하는 서비스로, 본인인증만으로 가입한 모든 보험 내역을 한눈에 조회할 수 있습니다.
- 각 보험사 앱 또는 홈페이지: 가입한 보험사 고객센터나 앱을 통해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.

어떤 실비보험을 해지해야 할까?
중복 가입 사실을 확인했다면, 이제 어떤 보험을 정리할지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. 다음 기준들을 꼼꼼하게 비교해 보세요.
- 보장 범위 및 조건: 언제 가입했는지에 따라 보장 내용이 다를 수 있습니다. 일반적으로 과거에 가입한 보험이 자기부담금이 적고 보장 범위가 넓어 더 유리한 경우가 많습니다.
- 보험료: 매달 납부하는 보험료를 비교하여 부담이 적은 쪽을 선택하는 것도 방법입니다.
- 개인 실비 vs 단체 실비: 회사에서 가입해 준 단체 실비보험은 퇴사 시 유지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. 개인 실비보험이 있다면, 단체 실비보험의 중복 가입 여부를 확인하고 중지를 요청하여 불필요한 보험료 지출을 막는 것이 좋습니다.
실비보험은 우리가 아프거나 다쳤을 때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주는 필수 보험입니다. 하지만 불필요한 이중 지출은 막아야 합니다. 이번 기회에 본인의 보험 가입 현황을 스마트하게 점검하고, 새는 보험료 없이 알찬 보장을 챙기시길 바랍니다.